



Indoor Sports Arena: ThirdSpace Architecture의 새로움
안녕하세요, 오늘도 실무를 통해 배우고 있는 GS건축사사무소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도 카르나타카주에 위치한 KLE Technological University의 Indoor Sports Arena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hirdSpace Architecture Studio가 설계한 이 스포츠 아레나는 학교와 도시의 조건을 조화롭게 반영하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프로젝트 개요
이 건물은 주요 도로와 100에이커 캠퍼스 내 마지막 녹지 공간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중적인 맥락에서는 자연경관과 시민성을 조화시키는 것이 디자인의 핵심 원칙이 되었습니다. Indoor Sports Arena는 자연 지형의 경사선을 활용하며, 도로는 캠퍼스보다 약 4미터 낮은 위치에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은 건물이 부분적으로 지면 아래로 침몰하여 경관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도시를 향해 더 눈에 띄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게 했습니다.
구조 및 기능
이 스포츠 아레나는 농구와 배드민턴 코트를 중심으로 하며, 주요 공간들은 연속적인 거리와 충분한 수직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이 시설은 1,3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중앙 코트는 3,500명의 수용능력을 갖춘 졸업식 홀로 변환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앙 코트를 포함하여, 피라미드 형태의 철근 지붕이 주요 공간을 가로지르며 주변 구조물들은 녹지 지붕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조경 면적은 건물이 주변 환경과 시각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디자인 접근 방식
아레나로의 접근은 동쪽, 서쪽, 북쪽 세 개의 주요 진입 지점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현장의 경사와 나무 캐노피에 대응합니다. 이러한 입구들은 캠퍼스 삶과 공공 활동의 연장선으로 기능하는 오픈 플라자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아레나는 다양한 규모에서 운영되며, 내부적으로는 실내 스포츠 전용 시설로, 외부적으로는 캠퍼스 경관의 연장으로 인식됩니다.
ThirdSpace Architecture Studio의 디자인 팀은 내부의 색상 사용을 통해 공간의 전환을 표현하고 시각적 대조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설계 접근은 방향성을 지원하고 건물의 시각적 가독성을 높이면서 전체적인 재료의 일관성을 해치지 않습니다. 아레나는 단순한 스포츠 시설이 아니라, 도시와의 연결 및 생태 연속성을 고려한 포괄적인 공공 구조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결론 및 실무 팁
이 Indoor Sports Arena는 단순한 스포츠 시설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공공 공간과 스포츠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을 통합한 디자인을 통해 기존 캠퍼스 환경과의 연결성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한국의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에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많은 정보는 디자인붐 원문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