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T 혁신과 목조건축물의 미래

  • Post author:
  • Post category:law

CLT와 목조건축물

안녕하세요. 오늘도 건축의 세계를 탐험하는 GS건축사사무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목조건축물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 CLT(Cross Laminated Timb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LT의 개념과 역사

최근 목조건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구조는 중목구조와 CLT 패널입니다. 중목구조는 튼튼한 목재 기둥과 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기법으로, 경량목구조에 비해 높은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이에 비해 CLT는 1990년대 독일에서 개발된 혁신적인 기술로, 층을 여러 겹으로 교차 적층하여 제작된 패널입니다.

CLT의 특징

CLT 패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교차 적층 구조로 휨, 뒤틀림, 균열에 강하다.
  • 대형 패널로 시공 가능하여 공사 기간 단축에 유리하다.
  • 탄소 저장 효과가 크며,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 다양한 두께와 크기로 제작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높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CLT는 대형 목조건축물에 특히 많은 활용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

현재 국내에서는 CLT 패널이 아직 보급 단계에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1. 용인시 CLT 단독주택

    • 국내 최초 CLT 패널이 적용된 주택으로, 국산 낙엽송과 소나무로 제작되었습니다.
  2. 대전시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 지상 7층 규모의 대형 건축물로, 67%가 국산재를 사용했습니다.
  3. 청주시 CLT주택

    • 가좌리에 건설 중인 주택으로, 지붕에 90㎜ 두께의 3겹 패널이 사용되었습니다.

CLT의 한계점

CLT 건축에도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목재 사용량이 많아 자재 비용이 높고, 국내에서는 생산 기반이 부족하여 공급이 제한적입니다. 또한, 목재의 물리적 한계를 고려해야 하므로 설계 단계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CLT의 매력과 함께 목조건축물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해 CLT 기술의 활용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

원문 링크